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07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 31
Tags
more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계속해보겠습니다

생각을 쇼하라 본문

Book Reviews

생각을 쇼하라

miao 2017. 5. 7. 19:21
생각을 쇼하라
국내도서
저자 : 댄 로암(Dan Roam) / 정준희역
출판 : 21세기북스(북이십일) 2009.03.31
상세보기




* 문제 해결의 기술이 비즈니스의 핵심이라는 말은 틀리지 않은 말이다.


* 문제 해결의 여섯가지 범주 (6W의 문제)

   1. '누가Who 그리고 무엇을 What'의 문제 : 사물과 사람 그리고 역할과 관련된 문제

- 내 주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? 그리고 나는 어디에 적합한가?

- 책임자는 누구이며 누가 관련되어 있는가? 책임은 어디에 있는가?

   2. '얼마나 많이How much'의 문제 : 측정 및 계산과 관련된 문제

- 우리가 필요로 하는 만큼 X를 충분히 갖고 있는가?

- 계속하려면 X가 얼마나 많이 필요한가? 

   여기서 이만큼 늘리면 저기서 저만큼 줄일 수 있는가? 

   3. '언제When'의 문제 : 일정 및 타이밍과 관련된 문제 

- 무엇이 먼저이고, 무엇이 그 다음인가?

- 우리는 할 일이 많이 있다. 그 모든 일을 언제 다할 것인가?

   4. '어디서Where'의 문제 : 나아갈 방향 및 구성 요소들 간의 조화 방식과 관련된 문제

- 우리는 지금 어디로 가고 있는가? 옳은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가?

   아니면 다른 곳으로 자리를 옮겨야 하는가?

- 이 모든 요소들이 어떤 식으로 조화를 이루고 있는가?

   무엇이 가장 중요하고 무엇이 덜 중요한가?

   5. '어떻게How'의 문제 : 특정 상황이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문제 

- 이렇게 하면 어떻게 될 것인가? 저렇게 하면 어떻게 될 것인가?

- 우리의 행동을 바꿈으로써 초래될 결과를 바꿀 수 있을 것인가?

   6. '왜Why'의 문제 : 거시적 시각과 관련된 문제

- 우리는 무엇을 왜 하고 있는가? 그것이 옳은 일인가?

   아니면 다른 무엇인가를 해야 하는가?

- 변화가 필요하다면 우리는 어떤 선택이 가능한가?

   어떤 선택이 가장 좋은 선택인지 어떻게 결정할 수 있는가?


* 4단계 시각적 사고 프로세스 

   1. 살펴보기 : 수집하기와 예비 심사

   2. 인식하기 : 선별하기와 그룹화하기

   3. 상상하기 : 보이지 않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

   4. 제시하기 : 모든 것을 명확히 하는 단계

        - '큰소리로 살펴보기'를 시작한다. 

   무엇을 나타내고 있는 그림인가? 무엇이 포함되어 있고 무엇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가? 좌표는 무엇이고 차원은 몇 차원인가?

- '인식하기'를 큰소리로 계속한다.

   가장 두드러진 세 가지 특징은 무엇인가? 어떤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는가? 

   어떤 패턴이 보이는가?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중요한 '무엇인가'가 있는가?

- '상상하기'를 큰소리로 계속한다. 

   우리가 찾아낸 패턴을 어떤 식으로 조합 혹은 이용할 수 있을까? 열려 있는 기회들이 있는가? 

   여기서는 보이지 않는 무엇인가가 있는가? 예전에 그것을 어디에서 보았는가?

- '제시하기'로 발표를 마무리한다.

    이것이 궁극적으로 말하고 싶은 것이다. 당신도 우리와 같은 것을 보고 있는가? 

    이것이 우리의 해결책이다. 동의하는가?


* '어떻게'와 '왜'를 아이디어의 핵심으로 나타낸다.


* 우리 눈은 항상 방대한 양의 정보를 받아들이고 있는 데도 모든 것을 뚜렷이 인식할 수 있다.


* '운명'이란 미리 정해져 있는 움직임의 다른 표현이다. 

   이것은 무의식적으로 우리가 행하는 무엇인가이다. 


* 상상력 촉진 도구, SQVID : 다섯 가지 SQVID 질문은 아이디어를 어떤 식으로 제시하고 싶은지 묻고 있다.

   - '단순하게Simple' 제시하고 싶은지, '정교하게Elaborate 제시하고 싶은지?

   - '정성Quality'적으로 제시하고 싶은지, '정량Quantity' 적으로 제시하고 싶은지?

   - '비전Vision' 중심적으로 제시하고 싶은지, '실행Execution' 중심적으로 제시하고 싶은지?

   - '개별 특성Individual attribute' 을 제시하고 싶은지, 다른 대상과 '비교Comparison'하여 제시하고 싶은지? 

   - '델타Delta' 즉 변화된 모습을 제시하고 싶은지, '현상Status quo'을 제시하고 싶은지?


* 시장과 유행이라는 움직이는 나침반만 따라가는 컨설턴트는 실패할 것이고 

  반대로 비즈니스 신념과 문화라는 진북(true north : 지구의 실질적인 자전축)을 추구하는 컨설턴트는 성공할 것이라는 뜻이다. 


* 특별 조사팀은 자신들이 해결책을 찾지 못한다면 그 어떤 고위 책임자도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.


* 여섯 가지 인식 방식과 여섯가지 제시 방식

   1. 누가/무엇을 -> 정성적 묘사 = 포트레이트

   2. 얼마나 많이 -> 정량적 묘사 = 차트 

   3. 어디서 -> 공간적 위치 = 맵

   4. 언제 -> 시간적 위치 = 타임라인

   5. 어떻게 -> 인과 관계 = 플로 차트

   6. 왜 -> 추론과 예측 = 다변수 그래프


* 무엇을 그릴지 고민하기보다는 종이 위에 무엇이라도 그려 보는 것이 더 중요하다.


* 통찰력 있는 데이터는 따분하지 않다.


* 중요한 메시지를 그림으로만 모두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 

  그림을 통해 메시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이해시키며 무엇보다도 시각적으로 기억시키는 것이 중요하다. 


* 그 그림들은 아이디어가 꽃필 수 있는 디딤돌 역할을 한다. 그리고 이러한 디딤돌을 마련하는 것이 바로 문제 해결의 핵심이다. 우리가 통찰력을 고취시키는 그림을 제시하는 것은 그 그림이 천 마디의 말을 생략해 주기 때문이 아니라 중대한 차이를 만들어 낼 천 마디의 말을 이끌어 내기 때문이다. 




이 책에 대한 기대가 커 

공부하듯 읽느라 진도가 잘 나가지 않았지만 흥미로운 내용이었다. 


시각적 사고, 디자인 씽킹 ...

흥미롭기는 한데 알 듯 하면서도 매번 잘 모르겠는 분야. 


언제나 가장 중요한 것은 '문제'를 '해결'하는 것.

그게 과연 배워서 되는 것인지 모르겠지만, 배워서라도 잘 해보고 싶은 마음이 크니까. 

익히고 또 익히고, 배우고 또 배워나가야겠지.


자주 들쳐봐야겠다.

'Book Revie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슬픔이여 안녕  (0) 2017.05.07
바다의 얼굴 사랑의 얼굴  (0) 2017.05.07
구글 웹로그 분석  (0) 2017.05.07
쓰기의 말들  (0) 2017.05.07
악의 꽃  (0) 2017.05.07
Comments